Ref)
Why
•
청중과의 실시간 소통이 적극적으로 다뤄져야 함.
•
사전 질문의 내용도 반영되어, 객석의 니즈가 적절히 반영될 수 있어야 함.
0. 핵심 요약
1.
두 분 16시 반 도착 시간 확인
a.
조엘은 사전에 가서 찬양팀 리허설과 세팅 진행할 예정
b.
주차 상당히 어려움
2.
아래 토크 시 타임 키핑 규칙 및 타임 테이블 진행 내용 숙지
3.
주요 역할
a.
염미솔 대표님
i.
간증자
ii.
토크쇼 메인 게스트
iii.
퍼소나
•
함께 (경제적으로) 어려워본적이 있었던 사람으로서, 참여자들을 위한 위로와 공감을 전달
•
동기부여와 ‘할 수 있다’, ‘응원한다’는 말씀을 더 전달하는 캐릭터
•
15m 간증의 레퍼런스는 ‘세바시’
b.
반승환 목사님
i.
토크쇼 서브 패널
ii.
기도회 인도 및 축도
iii.
퍼소나
•
자칫 지루해지고 촉촉해지기만 할 수 있는 행사에서 톡 쏘는 맛을 담당
•
조엘과 티격태격할 수 있으나, 답변 내에서는 복음의 본질을 핵심적으로 전달할 때는 매우 진지
c.
MC 조엘
i.
초원 워십 여는 찬양
ii.
토크 MC, 광고
iii.
퍼소나
•
‘나는 아무것도 몰라요’ 같은 캐릭터로 청중들의 수준에 맞게 진행
•
행사 진행의 모든 것을 담당
•
필요한 경우, 답변을 중지할 수 있고 스킵할 수도 있음
주제 성구
그는 뜻이 일정하시니 누가 능히 돌이키랴
그의 마음에 하고자 하시는 것이면 그것을 행하시나니
[욥기 23장 13절]
행사 타임라인
•
리허설 16시 ~ 18시
◦
리허설 마지막에 함께 기도
•
하우스 오픈 18시 30분
◦
게스트 저녁 식사 및 대기
•
게스트 두 분
◦
참여해주신 분들 배웅 인사 + 사진 촬영
◦
대기실로 돌아가서 마지막 소감 인터뷰가 짧게 촬영 예정
Glossary
•
염미솔 대표님 : 염
•
반승환 목사님 : 반
•
조엘 : 조
[게스트 세션] “믿음의 동아줄” - 염
시청각 자료 최종 확인
스티브 잡스급 오퍼레이션 불가 ㅋㅋㅋㅋㅋ…
15m 시간 엄수
믿음이 없이는 찬양
조 안 보이는 곳에서 같이 부를 거임
찬양 마치면서 조 입장
조 소개받고 반 입장
입장하자마자 바로 단체 사진 촬영 예정
불끈 샷
불킨 샷
[메인 세션] 함께하는 토크 & QnA
[1] 토크 시 타임 키핑 규칙
(1) 오버타임 금지
•
주어진 시간 내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조치
◦
단, 각 순서가 오버타임 된다고 하더라도 마무리 광고나 결연 어필 시간은 줄어들지 않음
(2) 발언 길이 최대 4분 이내
•
현장 소통이 최대한 많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꼭 해야 하는 말 위주로 4분 내 답변 (모든 사람)
◦
오버타임 시 MC 재량으로 답변을 정리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음. 그땐 마무리가 되어야 함.
(3) 롤링 시간 안내
•
MC가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잔여시간 안내 예정
[2] 기획토크에서 주로 다룰 질문 : 돈, 인생관
1) 돈 때문에 생기는 시험, 고통, 비참함, 어려움
1.
많은 청년들이 미래를 생각하거나 또는 결혼을 생각할 때 돈의 압박을 많이 느낍니다. 그 압박 때문에 오히려 무기력으로 잠식 됩니다. 그리고 하나님을 찾는 거는 더욱 어려워 집니다.무의미하게 YouTube를 보거나 불면증에 시달립니다.어떻게 이겨나갈 수 있습니까? 어떻게 극복 하셨습니까?
2.
통장에 돈이 있으면 안심이되고 없으면 불안한 삶을 살고 있어요. 하나님께 맡겨야 한다는 건 알고있지만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선하신 하나님이시지만 성장을위해 고난도 주시는 하나님이신걸 알기에 성장 시키시려고 고난을 주시지는 않을까 두렵기도해요
2) 재정을 모으는 것에 대한 부채감, 죄책감
1.
수입의 너무 많은 퍼센트를 저축하는 것은 미래에 대한 하나님의 책임지심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떠한 기준으로 미래를 대비하는 저축을 하고 현재를 누릴 수 있는 계획을 세울수 있을까요?
2.
하나님이 허락하신 재정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님께서 기뻐하실까요?
a.
크리스천의 건강한 재태크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b.
십일조를 지키지 않으면 죄를 짓고 있는걸까요?
3) 봉사, 헌금
1.
염미솔 대표님 책에 빚을 갚는것이 최우선이란 문구가 제마음에 콕박혀서 빚을갚아나가기위해 노력중에 있습니다. 가끔 십일조, 감사헌금, 그리고 건축헌금 등을 해야할 때 갈등이 마음속에 많이 생깁니다. 재정 상태가 좋지 않을 때 헌금을 어디까지 해야할까요?
2.
십일조는 출석하는 교회에 드리는 것이 가장 좋은 건가요??
3.
월급 중 헌금의 비율을 어떻게 두어야할지 고민입니다. 대출 때문에 모든 것을 줄이는 중인데 가계부를 보니 생활비 다음으로 헌금이 가장 높더라고요. 헌금까지 줄이고 싶진 않은데 또 막상 대출을 보면 마음이 약해집니다.
4.
주님이 주신 달란트로 돈을 열심히 벌어서 십일조를 크게 하는 삶과, 적당히 살면서 교회 커뮤니티와 봉사활동을 열심히 하는 삶중에 어느것이 더 청지기적인 모습인가요?
4) 하나님 보시기에 성공하고 싶은 나,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1.
매력적인 볼거리가 넘치는 세상 속에 마음의 중심, 성경적 재정관을 어떻게 지켜가시는지 궁금합니다.
2.
저는 하나님께 잘되게 해달라는 기도만 많이 해서 그런지 사업의 실패와 상공에 따라 혹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을때 신앙이 흔들리기 쉬울 것 같은데 어떠셨는지 궁금합니다.
3.
잘하는 일, 하고 싶은 일, 돈 버는 일이 다 각각 다르게
느껴집니다. 교집합을 찾아내는 방법이 있을까요? 하나님께서 제게 원하는 일이 있을까요?
4.
앞으로의 경제적 목표가 궁금합니다.
경제적 목표를 세울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 이성적인 요소, 신앙적인 요소 각각 한가지씩
돈과 재정 가치관 정립에 도움을 준 책 5가지(성경 제외)
다시 결혼 전으로 돌아간다면 다시 넌크리스쳔 남편분과 교제를 할 건지 궁금합니다.
4) 가볍게 치고갈 만한 질문
1.
올해 저의 목표는 성경적 돈 공부입니다. 도움이 될 만한 책이나 강의가 있을까요?
2.
염미솔 대표님 비지니스 캠프 연마다 하신느걸로 알고 있어요. 거기 참석할 수 있는 기회를 선물받고 싶어요.
(이분 당일에 누구신지 여쭙고 오실 수 있도록 초청하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