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 PMF Narrative: 데일리 QT 앱

[1] 우리는 어떤 제품을 만들 것인가?

1. 리서치 인사이트

1) 크리스찬 앱의 Next Generation은 오디오 기도 컨텐츠이며, AI 기술 접목 시 글로벌 컨텐츠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코로나19 시기에 명상 카테고리의 앱이 큰 폭으로 성장하였는데, 코로나19가 끝난 현재의 성장 추세는 더딘 상황. 다만 루틴/명상을 중심으로 한 Faith-based app은 prayer daily routine app의 형태로 충성도가 높은 종교 시장 유저를 vertical 하게 타겟하고 있는데, 이러한 서비스가 현재 주목을 받고 있음.
Peter Thiel (피터 틸)이 투자한 천주교 Prayer 앱 Hallow는 불과 일주일 전에 $50M의 Series-C 투자를 받았으며, 기독교 Prayer 앱 Glorify는 2022.08에 $40M의 Series-B 투자를 소프트뱅크 벤쳐스로부터 유치하였음. 이를 통해 Faith-based 명상/루틴 앱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음.
한국 시장의 경우 음성 AI 전문 회사에서 출시한 바이블리의 경우, 목사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AI를 통해 콘텐츠 양산을 하고 있음. 음성 AI 기술 보유 시 압도적으로 효율적인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이 향후 강력한 차별화 요인이 될 수 있기에 자사 또한 음성 AI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음.

2) 이단에 대한 공포와 경계가 극심한 한국 기독교 시장에서 ‘서비스 신뢰도’는 시장에서 인정 받기 위해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

국내 바이블리의 경우, Hallow/Glorify와 유사한 형태지만 유명한 교회의 유명 목사의 컨텐츠를 활용한다는 특징이 있음. 한국형 Faith-based app은 하나님 크리스찬의 개인적 교제 뿐만 아니라 교회의 공식적인 인정과 네임밸류가 유의미하다는 점을 시사함.
주님AI 또한 이단적 답변에 대한 유저들의 경계심이 극도로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음. 서비스 신뢰도 확보를 위해서는 1) 교계에서 인정 받는 브랜드를 구축하는 것과 2) GPT 답변의 충분한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함.

3) B2C, B2B 비즈니스 모두 폭발적인 수익화 가능성은 아직 불명

Next Generation에 해당하는 앱이 수익화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는 미지수. Hallow와 Glorify의 매출 정보는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유사 카테고리의 재무적 성과를 통해 유추해보았을 때 당장의 수익화 가능성이 높지는 않아 보임. 해당 카테고리 전반적으로 확실한 수익 모델을 찾는 것이 과제인 것이라고 판단됨.

2. PMF Narrative 변경 사항

타겟 연령대를 30대 이상으로 변경
B2B 모델에 대해 회의적 ⇒ 추후 검증 진행
현재의 핵심 기능인 주님AI가 특정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교회의 교리와 일치되기가 어렵다는 점이 리스크로 존재, 교회 입장에서는 그들의 니즈를 완벽히 충족하는 전용 서비스를 원하지 않을까 추측. 교회 대상의 SaaS 서비스를 운영하기에는 현 시점 장벽이 크다고 판단.

3. 가설: 모로 가도 Daily App이 되면 된다.

정기 리텐션으로 작용할만한 요소
음성 기도 콘텐츠
- Hallow, Glorify 벤치마킹
큐티
- 현재 초원의 리텐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찬송가(ccm)
- 특정 상황에 맞는 찬송가를 손쉽게 찾아듣기 어려움 - Youtube Music이 불편한 이유 조사 필요
소셜 기능
설교
- Youtube의 경우 검증되지 않은 단체의 컨텐츠가 섞여 있어 불안요소로 작용함
우리 교회 콘텐츠

1) 브랜딩

교회/교단 제휴를 통한 공식화 (절대로 교회와 이해관계가 충돌되지 않아야 한다.)
독실한 CEO 브랜딩
여러 교회의 검증된 사람들이 생성하는 콘텐츠

2) 컨텐츠 퀄리티 강화

성경 DB 전수조사
속도 개선
퀄리티 강화

3) Audio 콘텐츠 도입

찬송가
음성 기도 컨텐츠

[2] PMF Narrative

1. Problems to Solve

Defining the problem broadly and independently from the solution, avoiding “solution thinking”
 When the problem isn’t acute enough

1) Desired Outcome

What are our customers really trying to achieve?
일상 생활 속에서 깊이 있고 일관된 기독교 신앙 생활
내면의 평화와 안식을 찾고, 그리스도와의 개인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

2) Motivation

Why do the customers want this outcome?
인간의 의지 대상을 찾고자 한다. 종교는 불확실한 세상에서 확신과 안정감을 제공하며, 삶의 어려움과 도전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크리스찬은 자신의 삶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사랑과 가르침을 일상생활에 더욱 반영하고, 자신의 삶을 통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고 싶어합니다.

3) Gaps

Why can’t they do this today?
1.
바쁜 생활 패턴, 시공간의 제약: 일상생활이 분주하고 복잡하여, 신앙생활을 꾸준히 관리하고 실천하는 것이 어렵다.
교회 가기, 성경 묵상하기, 올바른 삶 실천하기
2.
신뢰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의 부족: 많은 기독교 관련 리소스가 디지털화되었지만, 신앙 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고 신뢰할 수 있는 리소스를 찾는 것은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3.
교회 공동체와의 단절: 교회에서 상처를 많이 받았다.
4.
신앙심 부족, 확신의 결여: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혹은 솔직히 잘 와닿지 않는 것 같다?

2. Target Audience

Defining a sequence of target audiences, starting with the initial niche target audience, and then expanding to the largest target audience.
 Market size is ill-defined (too broad or too small)

1) 신앙심

세그먼트 구분
설명
니즈
고객 특성
타겟 여부 (Now, Later, Exclude)
1티어: 선도적 신자
- 이미 깊은 신앙과 교리에 대한 확고한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교회나 신앙 공동체에서 리더십 역할을 맡고 있음 - 목회자, 전도사 등
- 설교/찬양/교육 컨텐츠 제작을 위한 자료 - 심층적인 성경 연구 및 검색
- 바이럴의 중심이 되는 집단 - 현재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Now
2티어: 헌신적 신자
- 매우 적극적인 신앙 생활을 추구하는 사람들, 교리에 대한 확고한 신뢰와 높은 신앙 생활 만족도를 가지고 있음 - 소속 공동체(교회)에서 높은 인게이지먼트를 가짐. 주일 예배는 필수이며, 평일 예배와 각종 교회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사역함 - 현재의 신앙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추가적인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가능성 존재. 신앙과 관련된 AI 기술에 대한 거부감을 가질 수 있음 예) 김희원님(Juno 지인), 김의찬님(Dean 지인), Dean 어머니
- 일상적인 신앙 생활을 돕는 컨텐츠 - 교회 구성원들과의 교제?
- 구매전환율과 재방문율이 아주 높음 - 보수적인 성향
Now
3티어: 자유로운 신자
- 신앙 생활에 완전히 헌신하지는 않지만, 그들만의 방식으로 신앙을 유지함 - 주일 예배 참석이나 헌금 제공과 같은 신앙 활동을 주기적이지 않게 수행하며, 신앙과 일상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 - 필요하다고 느낄 때 성경 공부를 하거나 헌금을 내는 등 신앙 활동을 함 예) Dean
- 성경적 답변을 받기 위해 목사님과 이야기해보고 싶음 - 나와 잘 맞는 교회/목사/설교를 찾고 싶음
- 편견이 없음(AI 기술에 대한 거부감 적음), 주님AI에 대해 호의적 - 높은 stickiness를 보여줄 수 있는가는 의문
Now
4티어: 소극적 신자
- 본인을 기독교인이라고 정의하지만, 아직 그들의 신앙이 개인적인 삶에 완전히 통합되지는 않음 - 꾸준한 예배 참석이나 능동적인 신앙 활동을 수행하지 않음. 중요한 행사나 특별한 시기에 연 1~2회 교회에 참석. 예) 윤원국님, 윤다미님
그 외: 타 종교인
-
Exclude

2) 연령대

세그먼트 구분
설명
타겟 여부 (Now, Later, Exclude)
10-29세
Z세대 - 리텐션 낮음. 현생에 재밌는 일 너무 많음 - 기독교인 비중 매우 낮음. - 구매력이 없음. - 기술친화적
Later
30-49세
M세대 - 구매력 있음
Now
50-69세
엄마아빠 세대 - 기술 비친화적 - 종이 성경 책 선호 - 죽을 때까지 변치 않는 신앙심
Now
70세 이상
Later

3. Value Proposition

Defining the value proposition in a customer-centric way,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key benefits rather than features.
 The solution doesn’t resonate with customers

1) Product tag line

This is the high-level value proposition, or what usually appears as the first sentence on the page in larger font.
매일 하나님과 교제하세요.
크리스찬의 신앙 생활을 위한 데일리 앱, 초원
Hallow Find God’s Peace in Prayer
Glorify Connect With God, Every Day.

2) Sub benefits (3 to 5)

Detail 3-5 key product benefits, specifically detailing how the product solves key customer challenges.
1. 나의 질문/고민에 대한 성경적인 답변을 받을 수 있다.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답을 찾으세요. AI와 커뮤니티의 힘으로, 당신의 질문과 고민에 성경적인 해답을 제공합니다.”
Desire
하나님 말씀을 통해 나의 고민과 어려움을 해결하고 싶다.
Gap
• 하나님과는 직접 이야기할 수 없다. • 목사님과 직접 소통이 어렵다. • 성경에서 내가 원하는 말을 찾아내기가 어렵다.
Solution
나의 질문/고민에 대한 성경에 기반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Feature
- AI 기반 성경 컨텍스트 검색 - GPT 기반 질의응답 (주님AI) - 크리스찬 커뮤니티를 통한 질의응답
2. 루틴/컨텐츠: 매일 꾸준한 신앙 생활을 도와주는 컨텐츠
“일상의 바쁨 속에서도 신앙 생활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큐티, 기도, 묵상, 찬송가 등 다양한 신앙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Desire
매일 꾸준한 신앙 생활을 실천하고 싶다.
Gap
1. 바쁜 생활 패턴, 시공간의 제약 2. 신뢰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의 부족(성경책..)
Solution
꾸준한 신앙 생활을 실천을 위한 콘텐츠와 장치
Feature
- 매일 루틴: 큐티(QT, Quiet Time) 및 기도 - 묵상, 기도, 찬송가 컨텐츠
3. 소셜: 다른 사람들과 신앙을 공유하는 신앙 공동체를 형성
"혼자서는 어려운 신앙 생활, 우리 함께 해요. 다양한 신앙 경험을 공유하고, 서로를 지원하는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세요.”
Desire
일상 생활 속에서 깊이 있고 일관된 기독교 신앙 생활을 실천하고 싶다.
Gap
- 현대 사회에서는 기독교인들이 상대적으로 소수를 이루며, 일상에서 동료 신자들과의 교류가 적습니다. 이로 인해 기독교인들은 종종 혼자서 신앙생활을 해야 하며, 이는 그들이 자신의 신앙을 유지하고 성장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게 합니다.
Solution
신자들이 신앙 생활을 공유하고, 서로를 돕고, 공동체의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제공
Feature
- 큐티 기록 공유 기능: 친구와 함께 루틴 생활 - 커뮤니티 기능: 다른 크리스찬들과 이야기하는 공간 (기도 요청, 질의 응답 등) - 우리 교회 보기 기능: 우리 교회 컨텐츠를 보는 공간
4. 쉬운 성경, 어렵지 않다. 하나님 말씀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Desire
하나님 말씀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싶다(?)
Gap
1. 어려운 성경 어투 2. 방대한 성경
Solution
쉽게 해석해주는
Feature
- 큐티: 해설과 메시지, 성찰 가이드 제공 - 성경: 장/절 별 해석 제공
Not Value
성경 읽기 편의성(성경 앱)

4. Competitive Advantage

Defining both the short-term and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Not meaningfully differentiated from the competition

1)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1.
브랜딩: 브랜드 신뢰감을 통한 강력한 브랜드 장벽을 구축한다.
a.
독실한 CEO
b.
셀럽 브랜딩
c.
교회/교단 제휴를 통한 공식화: 절대로 교회와 이해관계가 충돌되지 않아야 한다.
d.
자선 활동 (예: 부활절 캠페인)
2.
콘텐츠 역량: AI 컨텐츠를 공격적으로 활용하여 운영 리소스를 최소화한다.
GPT 활용(답변 퀄리티 및 속도)
찬송가 DB
audio content
3.
네트워크 효과/전환 비용: 크리스찬이 탈출 할 수 없는 장벽을 만든다
지인 기반 소셜 기능
우리 교회 중심 소셜 기능

2) Short-term competitive advantage

1.
Current direct competitors
the ones with value propositions most closely related to our product
큐티 앱: 소셜과 컨텐츠로 차별점 제시
2.
Indirect competitors
Competitors that are in a different value proposition category but still seen as a viable alternative by customers
성경 앱
명상/루틴 앱
3.
Adjacent markets
products that don’t directly compete with our product today, but offer closely related services.
교회

5. Growth Strategy

Branding

교회/교단 제휴
CEO 브랜딩: 보도자료, 인터뷰
회사 브랜딩: 회사 소개 페이지 및 PR 덱 완성
고객센터 구축

Marketing: Paid/Non-paid 마케팅 최적화

“전도사를 전도한다”: 전도사를 초원의 팬으로 확보하기 위한 액션(신학과 특강 등)
교회 단위 유입 전략 (예: 교회 주일예배 주보)
쿠팡급 SEO: 주님AI 질의응답, 성경 장별 콘텐츠, 키워드 AI 검색 결과에 대해 SEO 세팅
바이럴 마케팅: 주님AI 컨텐츠를 소재로 한 바이럴
Referral
퍼포먼스 마케팅: 매체 테스트(Facebook, 카카오톡 등)를 통한 노출 최적화 및 성과 정량화

[3] Brand Identity

[브랜드 분석]

1. 브랜드 미션

브랜드 미션은 조직이나 브랜드가 자신의 존재 이유와 현재의 목표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미션은 브랜드가 어떤 일을 하며, 어떤 가치를 추구하고, 그것을 통해 어떻게 사회나 고객에 기여할 것인지를 설명합니다.
하나님 말씀으로 우리 삶에 평화와 안식을 Let God's Word bring peace and rest to our lives
1.
God’s Word: 하나님의 가르침에 근간함
2.
Wellness: 궁극적으로 우리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함

2. 브랜드 비전

브랜드 비전은 브랜드가 미래에 이루고자 하는 장기적인 목표나 꿈을 표현합니다. 비전은 일종의 나침반으로서 브랜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며, 모든 전략적 결정과 행동의 기반이 됩니다.
기술로써 하나님 나라의 확장
일상 속에서 깊이 있고 일관된 기독교 신앙생활을 돕는다

3. 브랜드 퍼스널리티

1) 신뢰와 사람 냄새

이단 의심, AI에 대한 불편감
유저가 서비스를 처음 접했을 때, 충분히 믿을 만한 서비스임을 부각하여 고객의 염려사항을 제거한다.
AI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이나 불편감이 들지 않도록 한다.

2) 위로와 공감

기계적인 표현
기계적이고 객관적인 워딩보다, 감성적이고 공감이 되는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3) 직관적이고 쉬운

남녀노소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야 하며, 방대한 성경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복잡도 높은 디자인, 젊고 트렌디한 UI/UX, AI 기술에 대한 강조
가급적 유저들에게 이미 친숙한 UI/UX를 차용한다. 생소한 기능이라면 충분한 부연 설명을 통해 유저들이 장벽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고객센터를 구축하여 유저들이 필요한 순간에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3. 태그라인

매일 하나님과 교제하세요.
크리스천을 위한 신앙생활의 동반자, 초원.
샬롬! 주님의 평화가 머무는 땅, 초원입니다.
크리스천 데일리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