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 크리에이터 시장 전수조사 결론

당시 상황 상 완벽하게 문서 정리가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감안해서 봐주세요

개요

Why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전수조사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찾는다.

배경지식

1) 크리에이터의 정의

넓은 의미: 인스타그램, 유튜브, 트위치 등 소셜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생산하는 유튜버, 인플루언서에서 가수, 작가, 디자이너, 아티스트 등 무언가를 만들고 창작하는 사람을 포괄한다.
좁은 의미: Youtube, Instagram, TikTok 등 소셜 플랫폼 기반의 콘텐츠 창작자

2) 크리에이터가 바라는 것

크리에이터가 크리에이터로서 살면서 하는 고민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이 중 creatorly는 ‘수입’에 대한 크리에이터의 고민을 풀고자 함.
1.
콘텐츠 관련
“어떤 컨텐츠를 사람들이 좋아할지 고민되는게 가장 크다.” (유경몬, 구독자 12만)
“오랫동안 활동한 유튜버로써 경쟁자가 너무 많아지고 알고리즘에 뜨지않는 것” (혜서니, 구독자 45만)
“신규 구독자 유입이 어려운 추세다. 기존 구독자 역시 점점 빠져나가고 있어 유지하는 것도 어렵다.” (바라던바다, 구독자 72만)
2.
수익 극대화
“광고시장 축소에 따른 광고 메이드에 대한 불안감” (수빙수, 구독자 118만)
“광고가 너무 없다...…” (혜서니, 구독자 45만)
“수익의 안정성. 직업 생명.” (레블, 구독자 27만)
3.
1, 2에 대한 지속가능성(불확실성)
“나의 의도와 상관없이 언제든 논란이 될지 모른다는 불안함, 정신적으로 안정적이지 않는 순간들이 많음. 새로운 뭔가를 시도하기가 겁남. 그에 따라 활동량이 줄어들 때 수입의 불안정. 사생활.. 등등..”(박막례할머니, 구독자 125만)
“매번 새로운 것을 시도해야 하는 것, 살아남아야 하는 것,,.” (채채, 구독자 43만)
"언젠가는 본인의 밑천이 드러나 더 이상 볼만한 영상을 못 만들게 될 때 사람들에게 잊혀지지는 않을까, 새로운 도전을 해야하는 걸까에 대한 고민이 있습니다." (짱배, 구독자 15만)

조사 내용

시장 카테고리 분류 및 조사

1.
Advertising revenue(Adsense): Platform  Creator
2.
Brand deals(Corporate sponsorships): Brand  Creator
3.
Merchandise sales: Consumer(or Fan)  Creator
4.
Fan donations: Fan  Creator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마지막까지 남았던 비즈니스 후보

1.
Fan donation & Fan engagement & Fan membership
독립 웹페이지(예: Kajabi) + CRM 툴
Commerce platform
이 시장을 넓게 바라보면 아임웹, 웹플로우와 같은 웹사이트 제작 툴로까지 확장된다. 여기서 확실한 차별 가치가 과연 존재하는가, 우리가 그것을 해낼 수 있는가.
팬 멤버십 플랫폼(예: OnlyFans, Patreon)
일반 크리에이터: Youtube를 벗어날 정도로 니즈가 강력할까?
교회 관련 비즈니스
팬덤 비즈니스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집단이 있는지? 정치, 종교, 19금
시장이 충분히 큰가?
2.
Creator Funding / Finance
기대 수익이 얼마나 되는가?
일단 데이터를 모은다..?
한국 시장에서 가능할까? 솔직히 미국 creator finance도 아직 자리 못잡은 것 같음
3.
Brand deals marketplace
직접 제안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트렌드
광고대행사가 비용처리만 담당하는 경우도 있음
이미 어느정도 확보한 플랫폼
패션을 초기 타겟으로 잡는다
유하, 유커넥

결론

1) 크리에이터 시장은 성장하지만 그 사이에 비즈니스 기업이 낄 자리는 많지 않다

그들의 IP와 그들의 audience. 말그대로 1인기업
기존의 3rd party(광고대행사, MCN)들도 자리를 잃어가는 상황
앞으로는 전문 사업화, Production사가 이를 대체하지 않을까 싶음

2) AI 기술을 중심으로 영상 기술의 발전이 있을 것

AI 영상 툴이 보편화될 것으로 짐작되는 건 맞으나 이건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영역과 거리가 멀다고 판단됨

3) 금융 사업을 하기에는 시장이 작고 지속성에 대한 리스크가 너무 큼

4) 미국 크리에이터 시장도 전망이 결코 밝지 않은 상황

5) 크리에이터 시장에서 생존하려면 크리에이터가 되는 것이 현실적

김민준을 인플루언서로!!